반응형

안녕하세요. 빌리브컴입니다.

 

Windows10을 업그레이드 많이 하시는데요.

초기 업그레이드 시 KN버전에서 USB관련 드라이브를 인식 못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정말 당황스럽죠.

드라이브인식

 

Windows10은 USB인식에 필요한 “미디어 기능 팩”이 미 설치되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Windows10 드라이버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를 “미디어 기능 팩”을 설치 하여 해결 가능합니다.

드라이브인식2

Windows10 TH2 10586 이전 버전용

Windows10 TH2 10586 업데이트 이후용

 

Windows10을 초기 설치 시 업그레이드 후 라면 두번째 링크에서 다운 받아 설치하면 됩니다

“미디어 기능 팩”을 설치하면 드라이버 인식 문제는 한번에 해결됩니다.

 

이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빌리브컴입니다.

오늘은 컴퓨터에 가장 중요한 하드 디스크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하드디스키원리-1

 

플래터(platter)-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으로 둥글고 납작한 원판 디스크를 사용

헤드(head)- 플래터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읽는 장치

슬라이더(slider)- 암에 장착

암(arm)- 디스크를 플래터 위로 움직여 헤드의 위치를 설정

액추에이터(actuator)- 암을 움직이게하는 동력을 주는 기능

논리보드(logic board)- 하드디스크, 시스템과의 입출력 연결회로

[하드디스크 데이터 흐름]

하드디스크원리-2

 

데이터 흐름도는 하드디스크의 역할을 이해하는데에 도움이 됩니다.

1.  디스크의 접근하는 첫번째 단계는 필요한 정보를 찾는 것입니다.  응용프로그램, 운영체제, 특정 드라이브 등등
디스크의 어느 부분을 읽어야 하는지에 대해 결정합니다.

2.  드라이브 내 주소(address)에 요청이 이루어지기까지는  운영체제나 다른 프로그램이 바이오스에게 알려주는
정보로 번역 되어야 합니다.  플래터에는   자체의 실린더, 트랙, 헤드에 대한 정보를 담아두는 주소가 몇 바이트씩 할당되어 있는데,
제조사 뿐만 아니라 모델마다 다 다르므로  요청된 정보는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상으로 보내져서 의 MPU(Main Processing Unit)가
올바른 정보로 번역하여 실제의 정보가 있는 주소로 전달되어 집니다.

3. 의 컨트롤 프로그램은 먼저 요청받은 정보가 이미 자체의 내부에 있는지 확인하고 시스템에 제공해 줍니다.

4.  논리보드는 받은 주소를 해석하고, 드라이브의 특징을 고려하는 번역 단계를 수행하게 되고,  의 논리
프로그램은 요청된 실린더의 최종 숫자를 살핍니다.  그 실린더의 최종 숫자는 디스크 표면의 어느 트랙을 살펴 보아야
할지 말해줍니다.  보드는 액추에이터에게 지시하여 판독, 기록, 헤드로 트랙위치를 이동하도록 합니다.

5.  헤드는 트랙을 읽기 시작하고 요청 받은 섹터를 찾습니다.  정확한 섹터 숫자로 회전한 후 섹터의 내용을 읽습니다.

6. 논리보드는   내부를 통제하는 것으로써, 받은 정보를 일시적인 저장장소(buffer)로 전달하는 것을 조정합니다. 
그 다음에 그 정보를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로, 대개는 시스템 메모리로 보냄으로써 데이터 요청을 만족 시키게 됩니다.

[출처] 하드디스크의 구조와 원리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네이버 블로그에 반드시 필요한 위젯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위젯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위젯을 사용하기 위한 이미지가 필요 합니다.

이미지는 가로 170px, 세로 150px 크기로 준비하시면 됩니다.

 

위젯-1

 

저는 www.believecom.co.kr 연결 위젯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사이트 이미지를 알씨를 이용해서 170x150으로 변경 했습니다.

 

위젯-2

 

위젯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 중인 블로그에 로그인해야 합니다.

포스팅쓰기를 클릭해서 에디터로 들어갑니다.

 

위젯-3

 

사진을 클릭해서 위젯에 사용할 이미지를 선택하고 "원본 크기"로 변경해서 이미지를 등록 합니다.

 

위젯-4

 

이미지를 선택하고 "URL"버튼을 클릭 합니다.

위젯-5

 

위젯을 클릭 시 이동하기 위한 URL을 입력하고 비공개 글로 저장합니다.

 

위젯-6

 

저장 된 글 하단에 HTML을 클릭해서 모든 글을 복사 합니다.

 

위젯-7

 

블로그로 이동해서 레이아웃 설정 하단에 있는 "위젯 직접등록"을 클릭합니다.

HTML에서 복사한 정보를 위젯코드에 복사하고 등록을 마치면 위젯이 생성됩니다.

생성된 위젯은 원하는 위치에 등록하면 끝입니다.

 

위젯-8

 

위젯을 등록하면 블로그 화면에 위젯이 보이고, 클릭하면 연결된 URL로 이동합니다.

여러가지 위젯을 이용해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블로그를 만드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구글 트렌드를 사용하면 전세계적인 트렌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 특정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네이버 트렌드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네이버 트렌드 atalab.naver.com/ca/step1.naver


네이버 트렌드는 주제어를 3개까지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주제어를 설정하고 주제당 검색어를 추가하면 설정한 기간에 트렌드 테이타를 분석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음식, 건강, 다이어트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검색어에도 주제어를 추가해야 정확하게 분석 됩니다.

주제어는 그냥 제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네이버 트렌드를 분석 정보입니다.

기간별로 100기준으로 분석됩니다.

분석 된 내용은 별도 데이터 융합을 사용해서 다시 분석 가능합니다.

이처럼 트렌드 분석은 블로그를 사용하거나 사업적인 아이템을 검색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검색 위주로 분석 되는 것이므로, 참고 자료로 사용하시면 좋을 꺼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블로그를 하기 위해서는 트렌드를 무시 할 수 없습니다.

물론 많은 사용자들이 독자적인 트렌드를 사용하면서 많은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지만, 초보자는 쉽지가 않죠.

오늘은 구글 트렌드 분석 도구를 사용해서 트렌드 방향성을 예측해보겠습니다.

구글 트렌드 분석 사이트 입니다.

www.google.com/trends/?hl=ko

구글 트렌드-1

메인 화면입니다.

주제 탐색에 트렌드 분석을 원하는 내용을 입력하면 검색 주기에 해당되는 트렌트 분포도가 출력 됩니다.

요즘 뜨고 있는 BigData를 탐색해 보았습니다.

구글 트렌드-2

구글 트렌드에서 "시간 흐름에 따른 관심도 변화"입니다.

정확하게 2011년 부터 트렌드 흐름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구글 트렌드-3

구글 트렌드에서 "지역 관심도"입니다.

인도, 대한민국에서 핫하게 관심이 있네요.

한글로 검색하면 대한민국만 나오니 될 수 있으면 영어로 검색을 권합니다. ^^

구글 트렌드-4

구글 트렌드에서 "관련 검색어"입니다.

BigData에 관련된 검색 정보가 출력 됩니다.

구글 트렌드를 사용하면 현재 트렌드 방향을 확인 할 수 있지만,

맹신하기 보다는 참고하는 방향으로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구글 트렌드 사용법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