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IT 트렌드는 인공지능, 양자 컴퓨팅, 공간 컴퓨팅, 에너지 효율적인 컴퓨팅 등 다양한 기술 발전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습니다. 이 트렌드들은 비즈니스 모델과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몇가지 주요 기술을 알아보겠습니다.

1. Agentic AI

  • 개요: Agentic AI는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계획하고 행동할 수 있는 자율형 AI입니다. 이는 다양한 AI 기술을 결합하여 기억, 계획, 환경 감지, 도구 사용 등을 통해 작업을 수행합니다.
  • 비즈니스 혜택: 가상 인력으로서 인간의 작업을 보조하거나 증강시킬 수 있으며, 복잡한 기술 프로젝트나 고객 경험 자동화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이슈: 강력한 안전 장치가 필요하며, 제공자와 사용자의 의도와 일치해야 합니다.

2. AI Governance Platforms

  • 개요: AI 시스템의 법적, 윤리적, 운영적 성능을 관리하는 기술 솔루션입니다.
  • 비즈니스 혜택: AI 시스템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여 조직의 신뢰성을 강화합니다.
  • 이슈: 개인 정보 보호 문제와 데이터 사용 동의를 해결해야 합니다.

3. Spatial Computing

  • 개요: 증강 현실(AR)과 가상 현실(VR)을 활용하여 물리적 세계를 디지털로 강화하는 기술입니다.
  • 비즈니스 혜택: 게임, 교육, 전자상거래 등에서 몰입형 경험을 제공하며, 의료, 소매, 제조업 등에서 시각화 도구로 활용됩니다.
  • 이슈: 고가의 장비,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보안 문제가 있습니다.

4. Energy-Efficient Computing

  • 개요: 에너지 효율적인 아키텍처, 코드, 알고리즘, 하드웨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컴퓨팅을 실현하는 접근법입니다.
  • 비즈니스 혜택: 탄소 발자국을 줄이고 법적, 상업적, 사회적 압박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 이슈: 새로운 하드웨어,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 도구, 알고리즘 및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하며, 전환 비용이 높습니다.

5. Hybrid Computing

  • 개요: 다양한 컴퓨팅, 저장소, 네트워크 메커니즘을 결합하여 계산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입니다.
  • 비즈니스 혜택: 고속, 효율적인 혁신 환경을 제공하며, AI 성능을 극대화하고, 자동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지원합니다.
  • 이슈: 복잡한 기술로 인해 전문 기술이 필요하며, 보안 위험이 있습니다.

6. Quantum Computing and Quantum Security

  • 개요: 양자 컴퓨팅은 기존 컴퓨팅보다 훨씬 빠른 연산을 가능하게 하며, 양자 보안은 양자 컴퓨팅의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 비즈니스 혜택: 복잡한 문제 해결과 데이터 보안 강화가 가능합니다.
  • 이슈: 양자 컴퓨팅의 상용화와 보안 기술의 발전이 필요합니다.

7. Generative AI Search

  • 개요: 사용자의 질의에 대해 여러 온라인 소스를 요약하여 유니크한 답변을 제공하는 AI 기반 검색 기술입니다.
  • 비즈니스 혜택: 전통적인 검색 엔진의 대체 가능성과 개인 AI 어시스턴트의 부상이 예상됩니다.
  • 이슈: 데이터 소스와 정확성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8. Polyfunctional Robots

  • 개요: 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로봇입니다.
  • 비즈니스 혜택: 효율성을 높이고 빠른 ROI를 제공하며, 인프라 변경 없이 빠르게 배치할 수 있습니다.
  • 이슈: 가격과 최소 기능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합니다.

9. Neurological Enhancement

  • 개요: 뇌 활동을 읽고 해석하는 기술을 통해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
  • 비즈니스 혜택: 인간의 업무 능력 향상, 안전성 개선, 맞춤형 교육, 마케팅 혁신 등이 가능합니다.
  • 이슈: 초기 비용이 높고, 침습적이며, 보안 문제가 있습니다.

10. Ambient Invisible Intelligence

  • 개요: IoT와 AI를 결합하여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없이 자동으로 작동하는 기술입니다.
  • 비즈니스 혜택: 사용자 환경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조치를 자동으로 취할 수 있습니다.
  • 이슈: 기술 발전과 사용자 데이터 보호가 필요합니다.

2025년 IT 트렌드는 AI, 양자 컴퓨팅, 공간 컴퓨팅 등 다양한 기술 발전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비즈니스 모델과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조직들은 이러한 트렌드에 대응하여 혁신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기술 발전과 함께 개인 정보 보호와 보안 문제도 중요한 도전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간단하게 기술 내용을 정리했지만, 다양한 AI 기술을 활용한 기술이 점점 발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AI는 이젠 피할 수 없는 기술이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1. Grok란 무엇인가?
Grok는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xAI에서 개발한 AI 어시스턴트로, "최대한 진실되고 유용한 답변"을 제공합니다. 2025년 기준 최신 버전인 Grok 3는 이전 모델보다 성능이 크게 향상되어 추론, 코딩, 실시간 데이터 분석 등에서 경쟁 모델(ChatGPT, Gemini, Claude 등)을 능가한다고 평가받습니다. 특히 X(구 트위터)와의 통합으로 실시간 트렌드와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답변이 강점입니다.
 
 
2. Grok 3 무료 사용 가능 여부
2024년 12월 15일, xAI는 X 공식 계정을 통해 "Grok이 모두에게 무료"라고 발표했습니다. 이전에는 X Premium+ 구독(약 월 40달러) 또는 SuperGrok 요금제(약 월 30달러)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기본 기능이 무료로 개방되었습니다. 단, 무료 버전에는 사용량 제한이 있으며, 고급 기능(예: 음성 모드, 대량 이미지 생성)은 여전히 유료 구독자에게 우선 제공됩니다.
  • 무료 사용 조건: X 계정이 있어야 하며, 계정 생성 후 최소 7일 경과 및 전화번호 인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지역에 따라 다름).
  • 제한: 2시간당 10개 질문, 이미지 생성 10회, 이미지 분석은 하루 3회로 제한됩니다.

무료로 사용하는데 이정도 조건은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3. Grok 무료 사용법 단계별 가이드
Grok 3를 무료로 사용하려면 아래 단계로 접속해주세요.
(1) X 계정 준비
  • X에 접속해 계정을 생성하거나 로그인합니다(웹: x.com, 앱: X 공식 앱)
  • 계정 인증(전화번호 등)이 필요할 수 있으니 미리 확인해주세요.
(2) Grok 접속
  • 웹 사용: x.com/i/grok으로 이동하거나, X 홈 화면의 사이드바에서 "Grok" 버튼을 확인해주세요.
  • 앱 사용: X 앱에서 "Grok" 메뉴가 표시되면 클릭합니다. 별도 Grok 앱도 존재하니 Google Play 또는 App Store에서 "Grok by xAI"를 검색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2025년 1월 기준 무료 다운로드 가능)
(3) 질문 시작
  • 텍스트 입력란에 질문을 입력하세요. 예: "최신 영화 트렌드는 뭐야?" Grok는 X 게시물과 웹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답변합니다.
  • 간단한 질문부터 복잡한 문제(코딩, 수학 등)까지 가능합니다.
(4) 추가 기능 활용
  • 이미지 생성: "고양이 그림 그려줘"처럼 요청하면 고품질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2시간당 10회 제한)
  • 이미지 분석: 사진을 업로드하고 "이건 뭐야?"라고 물으면 분석 결과를 받습니다. (하루 3회)
  • 실시간 검색: "Deep Search" 모드로 최신 정보를 요약해줍니다.
4. 주요 기능과 특징
  • 실시간 데이터: X와 웹에서 최신 정보를 가져와 트렌드, 뉴스 등을 즉시 반영합니다.
  • 유머와 인간미: 딱딱한 답변 대신 재치 있고 자연스러운 톤으로 응답합니다.
  • 추론 능력: "Think" 모드로 복잡한 문제를 단계별로 풀어줍니다. (무료 버전에서도 제한적 사용 가능)
  • 다국어 지원: 한국어 포함 10개 이상 언어로 대화 가능.
5. 무료 사용의 장단점
장점
  • 비용 없이 고성능 AI를 체험할 수 있음.
  • X 통합으로 실시간 소셜 미디어 정보에 강함.
  • 이미지 생성 및 분석 등 멀티모달 기능 포함.
단점
  • 사용량 제한(질문, 이미지 생성 횟수)으로 빈번한 사용자는 불편할 수 있음.
  • 정보 정확도가 X 데이터에 의존하므로 편향 가능성 주의.
  • 고급 기능은 유료 구독 필요.
6. 활용 사례
  • 일상: "오늘 서울 날씨 어때?" → 실시간 날씨 정보 제공.
  • 학습: "미적분 문제 풀어줘" → 단계별 풀이.
  • 창작: "SF 소설 아이디어 제안해줘" → 독창적 스토리 생성.
  • 트렌드 파악: "요즘 X에서 핫한 주제는?" → 최신 트윗 기반 분석.
7. 주의사항
  • 검열 최소화: Grok는 검열이 적어 민감한 주제에도 답변하지만, 부정확하거나 논란의 여지가 있는 답변이 나올 수 있습니다.
  • 데이터 프라이버시: xAI의 개인정보 정책은 한번쯤 확인하는게 좋습니다. ( https://x.ai/legal/privacy-policy ).
  • 서버 부하: 무료 개방 후 사용자가 몰리면 응답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8. 무료에서 유료로 전환 시 고려사항
Grok를 사용하면서 더 많은 기능을 원한다면 X Premium+나 SuperGrok 구독을 고려해보세요. 유료 버전은 제한 없는 질문, 음성 대화, 우선 지원 등을 제공합니다. 가격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한국에서는 약 4만~5만 원 수준으로 확인됩니다. 환율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습니다.
 
 
Grok 3는 2025년 3월 기준 무료로 기본 기능을 제공하며, X 계정만 있으면 누구나 사용 가능합니다. 접속은 X 플랫폼이나 앱을 통해 간단히 이루어지고, 실시간 데이터와 창의적 답변으로 차별화됩니다. 제한이 있지만 일상적 사용에는 충분하며, AI의 최신 트렌드를 체험하기에 좋은 기회입니다. 무료 AI를 사용해보고 싶다면 정말 좋은 기회하고 생각합니다. 여러가지 무료가 있으니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x.com/i/grok에서 시작해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검색엔진 최적화(SEO)는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나 웹페이지가 상위에 노출되도록 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웹 상에 존재하는 모든 구조는 최적화 규칙이 적용되어야 노출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오늘은 검색 엔진이 이해하기 쉽도록 사이트 구조와 페이지를 개발하는 기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HTML 최적화

HTML은 SEO의 기본입니다. 주요 HTML 요소들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제목 태그: <title> 태그를 사용하여 각 페이지의 주제를 명확히 표현합니다.
  • 메타 설명: <meta name="description"> 태그로 페이지 내용을 간단히 요약합니다.
  • 헤딩 태그: <h1> ~ <h6> 태그를 사용하여 콘텐츠의 구조를 명확히 합니다.
  • 이미지 최적화: alt 속성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설명합니다.

2.구조화된 데이터 마크업

구조화된 데이터는 검색 엔진이 웹페이지의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줍니다

  • schema.org 어휘를 사용하여 콘텐츠에 의미를 부여합니다.
  • 사람, 조직, 이벤트, 제품, 리뷰 등의 정보를 마크업합니다.
  • Google의 구조화된 데이터 테스트 도구를 사용하여 오류를 확인합니다.

3.페이지 속도 최적화

웹사이트의 로딩 속도는 SEO와 사용자 경험에 중요합니다

  • CSS와 JavaScript 파일을 최소화하고 압축합니다.
  • 이미지를 최적화하고 적절한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 브라우저 캐싱을 활용합니다.
  •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을 사용하여 콘텐츠 전달을 가속화합니다.

4.모바일 최적화

반응형 웹 디자인은 모든 기기에서 웹사이트가 잘 작동하도록 보장합니다

  • 미디어 쿼리를 사용하여 다양한 화면 크기에 대응합니다.
  • 모바일 친화적인 네비게이션을 구현합니다.
  • 터치 요소의 크기와 간격을 적절히 조정합니다.

5.JavaScript SEO

JavaScript는 동적 콘텐츠 생성에 사용되지만, SEO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크롤러가 JavaScript 콘텐츠를 인덱싱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서버 사이드 렌더링을 고려합니다.
  • 동적 렌더링을 사용하여 검색 엔진 크롤러에게 정적 HTML을 제공합니다.

6.기술적 SEO

웹사이트의 기술적 측면을 최적화합니다

  • robots.txt 파일을 올바르게 구성합니다.
  • XML 사이트맵을 생성하고 제출합니다
  • 캐노니컬 태그를 사용하여 중복 콘텐츠 문제를 해결합니다.
  • HTTPS를 구현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

7.프로그래밍 언어

SEO 작업을 자동화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들:

  • Python: 데이터 분석, 크롤링,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SEO 작업 자동화에 유용합니다
  • JavaScript: 동적 웹사이트 요소를 다루는 데 필수적입니다
  • PHP: 서버 사이드 스크립팅에 사용됩니다

결론

코딩 기술은 SEO 전문가에게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기본적인 이해와 능력은 큰 도움이 됩니다. HTML, CSS, JavaScript의 기본을 이해하고, 필요에 따라 Python 등의 언어를 학습하면 SEO 작업의 효율성과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학습과 최신 트렌드 파악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경쟁력 있는 SEO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한글을 많이 사용하면서 다양한 기능이 있지만, 모든 기능을 알 수 없어 조금 답답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매뉴얼이 있으면 큰 도움이 되겠죠. 오늘은 한글 2020, 2022, 2024 온라인 매뉴얼 주소를 알아보겠습니다. 온라인 매뉴얼 사이트는 버전만 변경해 주면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버전은 110 ~ 130까지입니다.

https://help.hancom.com/hoffice110/ko-KR/Hwp/index.htm#t=hwp%2Fhwp(intro).htm

 

한컴오피스 2020 한/글 도움말

% 검색 결과의 마지막입니다.

help.hancom.com

https://help.hancom.com/hoffice120/ko-KR/Hwp/index.htm#t=hwp%2Fhwp(intro).htm

 

한컴오피스 2022 한/글 도움말

% 검색 결과의 마지막입니다.

help.hancom.com

https://help.hancom.com/hoffice130/ko-KR/Hwp/index.htm#t=hwp%2Fhwp(intro).htm

 

한컴오피스 2024 한/글 도움말

% 검색 결과의 마지막입니다.

help.hancom.com

온라인 매뉴얼은 트리구조 및 검색 구조로 되어 있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글 프로그램에서도 도움말을 통해서 온라인 매뉴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글 우측 상단에 "?" 항목을 클릭하고, 도움말 메뉴를 선택하면 사용 한글 버전 온라인 도움말로 이동합니다. 한글은 도움말 기능이 잘되어 있어 기능 사용하기 매우 편리합니다. 한글 사용 중이라면 온라인 도움말로 한번 확인해 보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닷홈에서는 무료 홈페이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무료이므로 처음 홈페이지를 접하시는 분들에게는 큰 도움이 됩니다. 처음 무료 홈페이지를 만들게 되면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저는 처음에 빈 홈페이지를 생성했습니다. 정말 아무것도 없어서 조금 해보려고 했는데 막막해서 바로 포기했습니다

그래서 다시 템플릿 을 설정하려고 관리자 메뉴에 들어가니 템플릿 메뉴가 없습니다. 가이드라인에도 템플릿 정보가 없어 혹시 저처럼 닷홈에서 무료 홈페이지를 만들다 템플릿 을 변경하시고 싶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될까 해서 템플릿 변경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닷홈 템플릿 변경은 홈페이지 메뉴가 아닌 닷홈 관리자 메뉴에서 가능합니다. 닷홈 빌더 목록에서 무료 홈페이지 상세 보기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스크롤을 하단으로 내려주면 "템클릿 재설치"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템플릿 재설치" 버튼을 클릭하면 처음 템플릿 설정 페이지와 같은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템플릿을 선택하고 재설치를 클릭해 주세요.

닷홈 도메인 정보를 입력하고 설치를 클릭하면 템플릿이 재설치됩니다. 기존에 저장된 정보가 모두 삭제되므로, 정보를 백업해 주세요. 재설치 시간이 조금 걸립니다. 

인테리어 템플릿을 설정하고 재설치하니, 홈페이지 이미지가 변경되었습니다. 닷홈 무료 홈페이지를 사용하신다면 템플릿 변경 방법 꼭 확인해 두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플러터(Flutter) 실행 시 'No Connected Device Found'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내용을 확인하면 연결할 수 있는 Devices를 찾을 수 없다고 합니다. ADB 실행 시 잘되던 게 안 되는 겁니다. 그래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나씩 확인해 보겠습니다.

먼저 SDK 설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File에서 'Project Structure'를 선택합니다.

Project 항목에서 SDK를 선택합니다. ADB에 설정된 SDK를 선택하고 저장을 클릭합니다. 정상적이라면 플러터(Flutter) 컴파일이 실행됩니다. 그런데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setting' 메뉴에서 Android SDK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한 SDK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SDK 확인하면, 체크가 아닌 업데이트(Update Available)로 변경되어 있습니다.

SDK를 선택하면 체크되면서 업데이트를 준비하게 됩니다. 'Apply' 버튼을 클릭합니다.

SDK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정상적으로 SDK가 체크되어 있습니다. Android Studio를 재실행하고 플러터(Flutter) 컴파일을 진행하면 정상적으로 ADB가 실행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Windows 사용 중 C드라이브 용량을 확인하니까. 갑자기 빨간색으로 변경되어 용량 부족을 알리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다운로드 파일이 많아서인 줄 알았습니다. 다운로드 폴더를 모두 삭제해도 용량이 줄어들지 않아 C드라이브 내용을 확인하니까 이상하게 용량이 엄청난 파일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hibeffil.sys, pagefile.sys 두개 파일로 이름만 보면 매우 중요한 파일처럼 보입니다. 두파일을 합치면 무려 30GB입니다. 먼저 두 파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hiberfil.sys 파일
절전모드 및 최대절전 모드 기능으로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고, 켜두면 자동 생성되는 파일입니다. 완전삭제는 안되며 기능으로 ON, OFF 가능합니다.
pagefile.sys 파일
하드디스크의 일부분을 램 처럼 사용할 시 생성되는 파일로 메모리가 부족할 때 하드디스크 용량으로 사용되는 파일입니다. 설정으로 삭제 가능

hiberfil.sys, pagefile.sys 두 파일 모두 일반 삭제는 불가능합니다. 삭제하면 파일이 열려있다는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그럼 두 파일 모두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pagefile.sys 삭제 방법

pagefile.sys는 설정으로 완전 삭제가 가능합니다. 먼저 내 컴퓨터에서 고급 시스텝 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시스템 속성'에서 '고급' 탭으로 이동해서 상단에 있는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성능 옵션 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성능 옵션 항목에서 '고급' 탭으로 이동해서 아래쪽에 있는 '가상 메모리' 하단에 있는 '변경' 버튼을 클릭합니다.

가상 메모리 창에서 상단에 있는 '모든 드라이브에 대한 페이징 파일 크기 자동 관리' 항목은 언체크 합니다. 아래쪽에 있는 '페이징 파일 없음'으로 변경하고, '설정' 버튼을 클릭해서 모든 설정을 완료합니다. 설정 완료되면 재부팅 후 pagefile.sys파일이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iberfil.sys 파일 삭제 방법

hiberfil.sys 파일은 cmd 명령어로 삭제가 가능합니다. 일반 cmd가 아닌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명령어 창에 cmd를 입력하고 마우스 우클릭을 사용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메뉴를 클릭해서 실행합니다.

cmd 창에서 'powercfg -h off' 입력하면 hiberfil.sys 파일이 삭제됩니다.

간단 방법으로  pagefile.sys, hiberfil.sys 파일을 삭제할 수 있어 30GB 용량을 확보했습니다. C드라이브 용량이 갑자기 줄어들었다면, 탐색기에서 pagefile.sys, hiberfil.sys 파일을 확인하고, 용량을 줄여보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Windows 환경에서 플러터(Flutter) 설치 및 실행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플러터(Flutter)는 구글이 출시한 오픈 소스 크로스 플랫폼 GUI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입니다. 다양한 기능 및 버전업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프레임워크입니다.

플러터(Flutter)는 Android 및 다양한 개발 프로그램에 사용 가능합니다.  전 Android에 사용하기 위해서 먼저 Android Studio를 설치했습니다.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

 

Download Android Studio & App Tools - Android Developers

Android Studio provides app builders with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 optimized for Android apps. Download Android Studio today.

developer.android.com

위 사이트를 방문해서 Android Studio를 설치합니다. 구 버전이 설치되어 있다면 새 버전으로 변경하는 것도 좋습니다. Android Studio 설치 후 직접적으로 Android Studio를 사용하지 않고 ADB를 실행하려면 반드시 sdk path 등록이 필요합니다.

https://docs.flutter.dev/development/tools/sdk/releases?tab=windows 

 

Flutter SDK releases

All current Flutter SDK releases, stable, beta, and master.

docs.flutter.dev

이제 가장 중요한 플러터(Flutter)를 설치해야 합니다. Flutter SDK 사이트에 방문해서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합니다. 다운로드 시 바이러스로 인식하는 문제가 있지만, 전 그냥 해제하고 다운로드했습니다. 정상적으로 다운로드되었다면, 압축을 해제합니다.

환경 설정으로 path를 등록하기 위해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폴더에 압축을 해제하는 게 좋습니다.

정상적으로 압축이 해제되었다면, bin 폴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환경설정에서 path 변수에 편집을 클릭해서 압축해제된 플러터(Flutter) bin 폴더를 입력합니다.

환경설정이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다면, 'flutter doctor' 명령어로 설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녹색으로 체크되면 정상이고 빨간색은 오류입니다. 오류 내용을 확인하면 설치 확인 시 Android SDK licenses 동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친절하게 'flutter doctor --android-licenses'를 입력하라고 합니다. 그런데 입력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Android studio에서 Tool을 설치가 필요합니다.

Androdi studio 실행 후 'settings' 메뉴에서 'System Settings' 메뉴를 선택합니다.

하위 항목에서 Android SDK 메뉴를 선택하고 SDK Tools 탭으로 이동 후 하단에 있는 "Android SDK Command-line Tools"를 체크하고 설치합니다.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라이선스 동의 명령어 'flutter doctor --android-licenses' 입력하고 확인하면 정상적으로 모두 녹색으로 체크됩니다. 이제 Android Studio에서 Flutter Plugin 설치가 필요합니다.

Android Studio 실행 후 'Settings' 메뉴에서 하단에 있는 'Plugins' 메뉴를 선택하고, 상단에 있는 검색에서 Flutter를 입력 후 설치합니다.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File 메뉴에서 'New Flutter Project'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New Flutter Project' 메뉴를 선택하고 하단에 있는 'Flutter' 클릭하면 왼쪽에 SDK path를 입력해야 합니다. 압축해제된 경로를 입력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하면 Flutter Project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Project가 생성되고, IOS, Android, Windows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플러터(Flutter)는 lib 폴더 아래에 있는 main.dart 파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const Text 항목을 변경하고 실행하면 'Flutter Demo Home Page' 앱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크롬(Chrome) 브라우저에서 자주 사용하는 즐겨찾기 백업 방법 및 관리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크롬(Chrome)은 로그인 동기화를 사용해서 즐겨찾기(북마크) 백업이 가능합니다. 정말 중요한 내용이 있다면 별도 파일로 즐겨찾기(북마크) 백업이 가능합니다.

1. 크롬 즐겨찾기(북마크) 백업 방법

크롬(Chrome) 브라우저는 즐겨찾기(북마크)는 별도 파일로 특정 폴더에 저장됩니다. 파일 위치는 %localdata%를 입력해서 Local\Google\Chrome\User Data\Default 위치로 이동하면 파일 상단에 Bookmarks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ookmarks 파일을 오픈하면 node 형태로 즐겨찾기 사이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ookmarks 파일을 동기화를 통해서 저장되거나 별도 백업으로 관리 가능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정보를 별도 파일로 저장하고 싶다면 Bookmarks 파일을 복사해서 저장하면 됩니다.

2. 즐겨찾기(북마크) 관리 방법

즐겨찾기(북마크)를 간단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즐겨찾기(북마크) 위치에서 삭제를 사용해서 정리가 가능하지만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없어 불편합니다. 

크롬(Chrome)에서 간단하게 북마크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즐겨찾기(북마크)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사용해서 "북마크 관리자" 메뉴를 클릭합니다.

설정된 북마크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확인 가능합니다. 리스트 형태로 구분되어 있으면서 바로 선택 가능해서 편집하기 매우 편리합니다.

우측에 있는 메뉴 이미지를 클릭해서 편집 및 삭제 기능을 사용해서 북마크를 정리 관리할 수 있습니다. 크롬(Chrome)에서 즐겨찾기(북마크)를 너무 단순하게만 사용해서 정보를 저장하면 즐겨찾기(북마크) 의미가 없어집니다. "북마크 관리자" 기능을 사용해서 크롬(Chrome)을 깔끔하게 정리해 보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PC에서 크롬 브라우저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부터인가, 크롬 브라우저에서 구글 검색을 통해서 블로그를 방문하면 HTTP ERROR 400 오류가 발생하면 페이지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다른 브라우저 Edge, 웨일 등을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블로그 확인이 가능했습니다. 공통적인 내용을 확인해 보니까, 티스트(TISTORY) 블로그 내용만 접근이 안되고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오늘은 크롬 브라우저에서 티스토리(TISTORY) 방문 시 발생하는 HTTP ERROR 400 오류 해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방법은 매우 간단하지만, 크롬 로그인을 이용해서 로그인 동기화를 진행하지 않았다면, 저장된 다른 사이트 기본 정보가 모두 삭제됩니다. 꼭 참고하시고, 로그인 정보가 중요하지 않다면 실행해주세요. 먼저 크롬 브라우저 옵션에서 "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설정 항목중에서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메뉴를 클릭합니다.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에 따른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상단에 있는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메뉴를 선택합니다.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메뉴에서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를 선택하고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그동안 저장된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정보가 삭제되면서 초기화됩니다. 쿠기 및 데이터 정보는 로컬 정보로 개인 PC에만 저장되는 정보로 티스토리 접근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정상적으로 초기화되었다면 크롬에서 티스토리 사이트를 정상적으로 방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