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on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용, 콜 아웃 블록은 일반적으로 줄 바꿈(개행처리)가 안됩니다.

인용 블록 사용 시 Enter을 클릭하면 다른 행으로 넘어갑니다.

콜 아웃 블록도 동일하게 Enter을 클릭하면 다은 행으로 넘어갑니다.

Excel처럼 Alt + Enter를 사용해도 안됩니다.

Notion(노션)은 Alt가 아닌 Shift를 사용해서 줄 바꿈(개행처리)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Shift + Enter

Notion(노션)에서는 Shift + Enter을 사용해서 인용, 콜 아웃 줄 바꿈(개행처리)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IntelliJ에서 GitHub 연동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GitHub를 연동하면 다양한 장소에서 손쉽게 소스를 관리할 수 있어 좋습니다. 소스 이력도 관리 가능해서 개발 이력확인하기 편리합니다.

IntelliJ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에서 프로그램 실행 후 File->Settings 메뉴를 클릭합니다.

Settings 창이 활성화되면, 우측 메뉴에서 GitHub 메뉴를 클릭합니다.

GitHub 메뉴를 클릭하면 우측에 GitHub 계정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내용이 없으니까, 상단에 있는 "+" 아이콘을 클릭하면 "Log In via GitHub..."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클릭하면 리다이렉트 되면서 WEB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기존에 등록된 사용자면 자동 연결로, 등록이 가능하고, 연결된 기록이 없다면 로그인 화면 및 연동 화면으로 연결됩니다. 로그인 후 연동 화면에서 "Authorize JetBrains"를 클릭하면 정상적으로 연동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다면, 리스트에서 GitHub 계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연동 계정으로 소스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플러터(Flutter)에서 TableCalendar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Calendar를 생성하면 영문으로 출력됩니다. 오늘은 캘린더를 한글로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글로 변경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지만 locale 옵션을 사용해서 간단하게 변경해 보겠습니다. 먼저 소스 상단에 import가 필요합니다.

import 'package:intl/date_symbol_data_local.dart';

intl에 포함되어 있는 date_symblo_data_local.dart 파일을 포함합니다.

main 함수에서 앱 실행 전에 DateFormatting 함수를 실행합니다.

initializeDateFormatting().then((_) => runApp(const MyApp()));

이제 TableCalendar에서 옵션으로 local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TableCalendar 옵션에서 " locale: 'ko-KR' "을 추가합니다.

앱을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캘린더 정보가 한글로 변경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